새롭게 투자원칙을 확립하면서 (불곰 투자원칙을 참고해) 새로운 마음으로 기업분석을 해보려고 한다. 첫 타자는 ‘제이앤티씨’ 스마트폰 커버글라스 전문기업 1. 재무관련상황 체크 1) 부채비율 2) CB, BW발행여부 3) 배당여부 4) 영업이익 성장

1) 부채비율(100%이하여부체크)
2018.12월부터 2023년, 24년(노란색 부분) 부채비율이다. 76%였던 부채비율이 최근인 2022년 56%를 기록했다.금리가 높은 상황이어서 부채가 높아지면 그만큼 이자가 커지고 이는 영업이익 훼손으로 이어지게 된다. 50~60% 유지하므로 양호하다. 2) CB, BW 발행 여부(주식수 희석 여부 가능성) CB, BW 발행된 것이 있으면 주식수가 증가해 회사 가치가 훼손된다. 예를 들어 CB주식이 500만주//순이익 100억원/주가 10,000원 실질 시가총액 10000원 * (1000만+500만주_CB주식) = 1500억원 PER = 1500억/100억 = 15배 사업 보고서 → 자본금 변동사항으로 확인한다.
![]()
별다른 댓글이 없어서 해당사항 없음. 3) 영업이익의 성장 여부(지속성이 있는가?) 주식이 상승하려면 회사 영업이익이 지속성이 있어야 한다.분기별로 꾸준히 성장성이 있어야 그래도 미래도 괜찮다는 안도감을 갖게 된다. 예를 들어)
이스페타시스의 연간 및 분기 실적

이스페타시스의 분기 실적이다. 반도체 업황이 최악이라 거의 모든 회사가 -yoy(%) 성장에 투자하는 데 있어 주저하지만 적어도 이 아이는 실적 방어가 될 것이라는 안도감을 가질 수 있다. 수치가 보이므로 단순 계산으로 1분기*4=1064억 이상의 영업이익은 달성할지도 예측할 수 있다. 왜냐하면 반도체 업황은 3분기 반등, 최악 4분기 반등.. 이 때문에 여기서 20% 업사이드를 줄지 30% 줄지 0% 줄지와 PER를 얼마나 줄지 본인의 View에 따라 부여해 목표가를 선정하면 된다. ex)업사이드 20%, 1064억*1.2=1270억. PER=8배 부여시 시가총액 약 1조원
J&TC 분기 실적 추이
![]()
그런 점에서 J&TC는 21년 이후 적자를 내고 있다. 투자 적합성 면에서는 별로다. 하지만 화웨이 매출이 50%를 차지하고 미국의 화웨이 제재로 실적 악화라는 원인 분석이 나오고 있다면 턴어라운드 시점으로 생각해 접근이 가능하다. 4) 배당 여부 배당 또한 주식을 매수하면서 얻을 수 있는 부가수익이므로 주식을 선정하는 데 고려 대상이 된다. 유감스럽게도 적자 기업이기 때문에 배당은 없다. 5) 매출 비중 체크 화웨이 50% 차량용 19% 카메라 윈도우 14% 국내 모바일 12% 웨어러블 6%→화웨이 매출 40~50%로 화웨이 업황에 종속되는 기업이다. 화웨이 관련 뉴스를 참고해 투자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. 1번, 기초재무체크1) 부채비율(0) 2) CB, BW발행여부(0) 3) 배당여부(X) 4) 영업이익성장(X)







